|
농암의 생애
號를 농암, 字를 仲이라 하는 이현보는 1467년(세조 13) 7월 29일에 禮安 汾川里에서 태어났다. 家系를 살펴보면 본관은 永川이고 高祖부터 예안에 卜居하였다. 대대로 벼슬을 지낸 고조 軒은 奉善大夫로 軍器寺少尹, 曾祖 坡는 朝散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600원
- 등록일 2018.11.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이현보<치사한정가><농암가>)
대쵸볼 불근 골에 - 황희 <한정가>
대초 볼 붉은 골에 밤은 어이 듯드리며
벼 비 그루에 게는 어이 나리는고
술 익자 체장사 도라가니 아니 먹고 어이리
주제 : 농촌 생활의 풍요로움과 흥겨움
시어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3.11.0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농암 이현보는 그 대표적 인물로 꼽힌다. 이현보에 이르러 정립된 강호가도는 퇴계에 의해 노래에 도학적 이념과 교화까지 포함하면서 이어졌고 결국 권호문과 같은 퇴계 문하로 계승되어 영남가단을 형성하였다. 안동시 도산면 분강촌에 위
|
- 페이지 19페이지
- 가격 2,200원
- 등록일 2014.03.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농암 이현보는 그 대표적 인물로 꼽힌다. 이현보에 이르러 정립된 강호가도는 퇴계에 의해 노래에 도학적 이념과 교화까지 포함하면서 이어졌고 결국 권호문과 같은 퇴계 문하로 계승되어 영남가단을 형성하였다. 안동시 도산면 분강촌에 위
|
- 페이지 19페이지
- 가격 2,200원
- 등록일 2018.04.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이현보가 이를 개작하여 9장의 장가, 5장의 단가로 만들었다. 농암의 어부가는 한자어가 많고 부르기에 적합하지 않은 결점을 지녔으며, 정경의 묘사도 관념적이다. 후에 고산 윤선도의 <어부사시사>에 영향을 준다.
생업을 떠나 자연을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7.11.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