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개관
2. 작품 분석
(1) 작품 해석
(2) 작품의 구조
<참고문헌>
<어휘풀이>
<핵심 정리>
2. 작품 분석
(1) 작품 해석
(2) 작품의 구조
<참고문헌>
<어휘풀이>
<핵심 정리>
본문내용
<漁父短歌>
1. 개관
<단가>는 5수로 된 연시조인데, 어부의 생애에서 느낀 감흥을 다루면서 제세에 대한 태도를 *合시켜 複線의 짜임을 이루고 있다. 제세와 관련되는 글감은 ‘시름’을 비롯하여 ‘인세’, ‘십장홍진’, ‘북궐’, ‘제세현’이 사용되어 강호에 안주하려는 작자의 지향을 강화하는 역할을 한다. 강호지향에 해당되는 글감은 ‘일엽편주’, ‘녹수’, ‘청산’, ‘한운’, ‘백구’ 등인데, 제세의 글감들과 상대적인 의미관계에 있다. 이 상대적인 의미관계를 담은 표현들은 ‘人世를 다 니겟거니’ ‘十丈紅塵이 언매나 렛고’ ‘長安을 도라보니 北闕이 千里로다’ 등과, ‘이 듕에 시름 업스니’ ‘一般淸意味를 어부니 아실고’ ‘無心코 多情니’등을 들 수 있다. 이 표현들을 대비해 보면 <단가>의 성향이 강호에서의 삶에 뜻을 두되, 그 원인이 일반적으로 홍진(紅塵)으로 대변되는 사회 현실의 어떤 양상과 연관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단가> 5수의 내용과 배열은 ‘만족한 어부의 생애’를 공통된 내용으로 다루면서, 강호에서의 안주에 초점을 맞추어 유기적으로 전개되는 짜임새를 갖추고 있다. 이 작품들의 내용은 작자가 강호와 인세(홍진)를 체험하여 판단하고 인식한 결과를 형상화한 것이다. 그 내용을 개관하면, 1장은 어부생애에 대한 가*평가(價*評價)를, 2장은 홍진세계(紅塵世界)화의 단절을, 3장은 어부의 삶에 대한 만족을, 4장은 강호의 본생을, 5장은 강호에서의 안주이다. 이 내용을 다시 배열의 측면에서 정리하면, 1장은 강호에서의 삶의 의의를 전제로 제시하고 이어 2장에서 그 삶의 태도와 3장에서 그 삶의 즐거움을 개인적인 감흥을 표명하여 강호를 이상적인 삶터로 인식한다. 특히, 4장에서는 강호 본래의 속성인 무심(無心)과 다정(多情)으로, 개인적인 그 감흥의 본바탕이 되는 평정심을 제시하여 강호의 이상적인 위상을 규정한 다음, 끝으로 5장에서 사대부가 해야할 제세(濟世)의 일마저 거부하고 그러한 강호에 안주하는 것을 결정한다. 이렇게 <단가> 5수는 배열된 순서 그대로 5단 또는 4단의 유기적인 짜임새를 갖추고 있다.
2. 작품 분석
漁父歌(어부가)는 일찍이 고려 때부터 12장으로 된 장가와 10장으로 된 단가로 전해져 왔는데, 이현보가 이를 개작하여 9장의 장가, 5장의 단가로 만들었다. 농암의 어부가는 한자어가 많고 부르기에 적합하지 않은 결점을 지녔으며, 정경의 묘사도 관념적이다. 후에 고산 윤선도의 <어부사시사>에 영향을 준다.
생업을 떠나 자연을 벗하며 고기잡이하는 풍류객으로서 漁父[가어옹(假漁翁)]의 생활을 그린 이 작품은, 우리 선인들이 옛부터 요산 요수(樂山樂水)의 운치 있는 생활을 즐겼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아무리 자연 속에 묻혀 은일을 즐겼을망정 마음속에는 인간사(人間事)에서 벗어날 수 없었던 것이니, \'인세(人世)를 다 니젯거니\'와 \'니즌 스치 이시랴\'라 한 것은 임금에 대한 충성을 표현한 것으로 애국 충정을 나타낸 것이다. 정경의 묘사나 생활의 실태를 구체적으로 나타냄이 없이 \'千尋錄水(천심녹수), 萬疊靑山(만첩청산)\'과 같이 상투적인 용어를 구사하여 관념적으로 어부의 생활을 그리고 있다.
(1) 작품 해석
1장- 어부의 한정(閑情)
이듕에 시름 업스니 漁父의 生涯이로다.
一葉片舟를 萬頃波애 띄워 두고
人世를 다 니
1. 개관
<단가>는 5수로 된 연시조인데, 어부의 생애에서 느낀 감흥을 다루면서 제세에 대한 태도를 *合시켜 複線의 짜임을 이루고 있다. 제세와 관련되는 글감은 ‘시름’을 비롯하여 ‘인세’, ‘십장홍진’, ‘북궐’, ‘제세현’이 사용되어 강호에 안주하려는 작자의 지향을 강화하는 역할을 한다. 강호지향에 해당되는 글감은 ‘일엽편주’, ‘녹수’, ‘청산’, ‘한운’, ‘백구’ 등인데, 제세의 글감들과 상대적인 의미관계에 있다. 이 상대적인 의미관계를 담은 표현들은 ‘人世를 다 니겟거니’ ‘十丈紅塵이 언매나 렛고’ ‘長安을 도라보니 北闕이 千里로다’ 등과, ‘이 듕에 시름 업스니’ ‘一般淸意味를 어부니 아실고’ ‘無心코 多情니’등을 들 수 있다. 이 표현들을 대비해 보면 <단가>의 성향이 강호에서의 삶에 뜻을 두되, 그 원인이 일반적으로 홍진(紅塵)으로 대변되는 사회 현실의 어떤 양상과 연관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단가> 5수의 내용과 배열은 ‘만족한 어부의 생애’를 공통된 내용으로 다루면서, 강호에서의 안주에 초점을 맞추어 유기적으로 전개되는 짜임새를 갖추고 있다. 이 작품들의 내용은 작자가 강호와 인세(홍진)를 체험하여 판단하고 인식한 결과를 형상화한 것이다. 그 내용을 개관하면, 1장은 어부생애에 대한 가*평가(價*評價)를, 2장은 홍진세계(紅塵世界)화의 단절을, 3장은 어부의 삶에 대한 만족을, 4장은 강호의 본생을, 5장은 강호에서의 안주이다. 이 내용을 다시 배열의 측면에서 정리하면, 1장은 강호에서의 삶의 의의를 전제로 제시하고 이어 2장에서 그 삶의 태도와 3장에서 그 삶의 즐거움을 개인적인 감흥을 표명하여 강호를 이상적인 삶터로 인식한다. 특히, 4장에서는 강호 본래의 속성인 무심(無心)과 다정(多情)으로, 개인적인 그 감흥의 본바탕이 되는 평정심을 제시하여 강호의 이상적인 위상을 규정한 다음, 끝으로 5장에서 사대부가 해야할 제세(濟世)의 일마저 거부하고 그러한 강호에 안주하는 것을 결정한다. 이렇게 <단가> 5수는 배열된 순서 그대로 5단 또는 4단의 유기적인 짜임새를 갖추고 있다.
2. 작품 분석
漁父歌(어부가)는 일찍이 고려 때부터 12장으로 된 장가와 10장으로 된 단가로 전해져 왔는데, 이현보가 이를 개작하여 9장의 장가, 5장의 단가로 만들었다. 농암의 어부가는 한자어가 많고 부르기에 적합하지 않은 결점을 지녔으며, 정경의 묘사도 관념적이다. 후에 고산 윤선도의 <어부사시사>에 영향을 준다.
생업을 떠나 자연을 벗하며 고기잡이하는 풍류객으로서 漁父[가어옹(假漁翁)]의 생활을 그린 이 작품은, 우리 선인들이 옛부터 요산 요수(樂山樂水)의 운치 있는 생활을 즐겼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아무리 자연 속에 묻혀 은일을 즐겼을망정 마음속에는 인간사(人間事)에서 벗어날 수 없었던 것이니, \'인세(人世)를 다 니젯거니\'와 \'니즌 스치 이시랴\'라 한 것은 임금에 대한 충성을 표현한 것으로 애국 충정을 나타낸 것이다. 정경의 묘사나 생활의 실태를 구체적으로 나타냄이 없이 \'千尋錄水(천심녹수), 萬疊靑山(만첩청산)\'과 같이 상투적인 용어를 구사하여 관념적으로 어부의 생활을 그리고 있다.
(1) 작품 해석
1장- 어부의 한정(閑情)
이듕에 시름 업스니 漁父의 生涯이로다.
一葉片舟를 萬頃波애 띄워 두고
人世를 다 니
키워드
추천자료
예술작품에 있어서 ‘무의식’에 관한 연구(살바도르 달리 를 중심으로)
작품으로 인정받기 원했던 다형(茶兄) 김현승의 시세계
예술작품 복제에 관한 조사
[한국근대 최초 여성작가][한국근대미술 작가][한국근대미술 주요작품][서양근대 미술][서양...
[안토니오 가우디 건축 사상][안토니오 가우디 건축작품][안토니오 가우디 현대적 의의]안토...
[고대가요 구지가][고대가요][구지가][설화]고대가요 구지가의 연원, 고대가요 구지가의 배경...
요세프 슈크보레츠키 생애와 업적, 대표작품, 작품의 의미, 업적에 대한 분석과 평가, 감상문...
[소설가 강경애][소설 소금][소설 인간][소설][강경애]소설가 강경애의 생애, 소설가 강경애...
[소설 탈출기][최서해 소설][작가][문체][줄거리][작품감상]최서해 소설 탈출기의 작가, 최서...
조정래 대하소설 태백산맥 집필동기와 내용요약, 조정래 대하소설 태백산맥 정치적 배경과 역...
[제임스 조이스, 제임스 조이스 역사, 제임스 조이스 작품, 에피파니, 더블린사람들]제임스 ...
초현실주의 대표 화가 살바도르 달리의 인생과 작품세계 - “내가 초현실주의다.” 살바도르 달...
고전문학사 연행예술,신재효 vs 안민영,판소리와 시조의 역사적 흐름,신재효의 작품세계,안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