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본어, 중국어를 대상으로, 서울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P733-738
김주연, 2013, 중국인 학습자가 발음한 한국어 단모음에 대한 종단 연구, 말소리와 음성과학, P72-73
해커스 원격평생교육원, 한국어로서의 발음교육론 Ⅰ. 서론
Ⅱ. 본론
1.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25.01.1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택 [혜:택/헤:택] 지혜 [지혜/지헤]
다만 3. 자음을 첫소리로 가지고 있는 음절의 ‘ㅢ’는 [ㅣ]로 발음한다.
늴리리 1. 한국어 자음의 체계
2. 한국어 단모음과 이중모음
3. 한국어 단모음의 체계
4. 한국어 자음의 교육 방안과 활동 유
|
- 페이지 20페이지
- 가격 15,000원
- 등록일 2021.12.0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다른 많은 규칙들이 개발되어 있는 장서 관행 같은 특수한 작업 내의 전통과 매우 밀접한 관련이 있다. 이것은 많은 경우에 국제적 기준에서 음역 표준을 채택하고 폭넓은 의견일치에 도달하기가 거의 불가능한 주된 이유이다. 이러한 상황은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10.03.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Berkeley, C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목차
1. 서론
2. 본론
⑴ 실제 발화에서 한국어 화자의 단모음 사용 양상
⑵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학습의 어려움과 문제점
⑶ 외국어로서 한국어 학습자에게 설명할 방법
3. 결론
4. 출처 및 참고문헌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2,400원
- 등록일 2024.08.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일본어의 음상징어 1,566개 낱말을,「韓日辭典」(安田吉實, 孫洛範 編著, 民衆書林)에서 한국어 음상징어 2,348개 낱말을 찾아 한·일 상징어 비교 자료로서 연구한 것으로 한·일 상징어 사전에 충실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Ⅹ. 일본
|
- 페이지 20페이지
- 가격 9,000원
- 등록일 2013.08.0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