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포대공이 주로 사용되었고 조선초기가 되면서 판대공과 동자대공이 보이기 시작한다.
-솟을 합장을 갖춘 것이 주심포식의 전형이며 옛식이다.
-천정은 연등천정이 정형이며, 우물천정은 조선초기부터 나타난다 다포식
주심포식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04.09.1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Ⅰ. 무신정권기 건축의 성향
Ⅱ. 원의 정치간섭과 건축의 영향
Ⅲ. 목조건축의 구조와 조형미
Ⅳ. 목조건축의 두 가지 형식, 주심포식과 다포식
Ⅴ. 온돌의 보급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800원
- 등록일 2013.09.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목차
Ⅰ서론
Ⅱ. 내용 및 특징
1. 조경의 정의 및 의의
2. 사찰의 의의
3. 전통적인 사찰의 특징
1) 주심포식 양식
2) 다포식 양식
4. 부석사
5. 부석사의 조경 양식
1)무량수전
2)응진전
3)범종루
4)범종각
6. 답사 다녀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10.01.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다포식 건물이 조선에서 발전해 나간 모습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건물이다. 극락전 좌우에 있는 화엄강당과 고금당은 조선 중기 이후의 익공식 건물의 특징을 유감없이 보여주고 있다. 왼쪽 위에 있는 영산전은 옹기종기 모여 앉은 건물들이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7.01.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다포식 가구의 전형적인 수법을 지니고 있어서 대웅전과 함께 목조 건축 양식을 연구하는 데 중요한 사료적 가치가 있는 건물이다. 현재는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2호로 지정되어 있다.
-삼층석탑(三層石塔)
보물 제250호로 지정되어 있는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6.03.3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