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합검색
  • 대학레포트
  • 논문
  • 기업신용보고서
  • 취업자료
  • 파워포인트배경
  • 서식

전문지식 10건

포대공이 주로 사용되었고 조선초기가 되면서 판대공과 동자대공이 보이기 시작한다. -솟을 합장을 갖춘 것이 주심포식의 전형이며 옛식이다. -천정은 연등천정이 정형이며, 우물천정은 조선초기부터 나타난다 다포식 주심포식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04.09.1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대웅전이다. 봉정사는 건축의 박물관이라 할 수 있는 절간이다.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목조건축물인 봉정사 극락전은 고려시대 절간건축 형식을 잘 보여준다. 대웅전은 고려말에 시작한 다포식 건물이 조선에서 발전해 나간 모습을 보여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7.01.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대웅전의 것과 같은 형식이다. 계단은 전,후면에만 있다. 3-3. 극락전의 평면 분석 극락전 건물은 평면 규모가 정면 3간, 측면 3간으로 현존하는 극락전은 내부 기둥열에는 감주법이나 이주법이 사용되지 않았다. 이는 전면 고주를 생략하여 넓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3,300원
  • 등록일 2013.12.2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대웅전 다포식 건물 - 사리원 성불사 응진전 -> 조선 시대 건축에 영향 월정사 8각 9층 석탑(송의 영향) -> 경천사 10층 석탑(원의 영향) -> 조선 원각사지 10층 석탑에 영향 고려 초기(광주 춘궁리 철불), 신라 양식 계승(부석사 소조 아미타
  • 페이지 26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5.06.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다포식 가구의 전형적인 수법을 지니고 있어서 대웅전과 함께 목조 건축 양식을 연구하는 데 중요한 사료적 가치가 있는 건물이다. 현재는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2호로 지정되어 있다. -삼층석탑(三層石塔) 보물 제250호로 지정되어 있는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6.03.3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