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근로자의 해고를 의미하므로 근로기준법 제30조의 적용을 면할 수 없다.
기간의 정함이 없는 단시간근로자의 해고에 있어서는 통상근로자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근로기준법상의 해고제한(제31조, 제34조) 및 해고예고(제32조)가 적용된다.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9.09.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근로계약이 해지되는 것은 아니다
4. 1년 미만 단기계약자의 권리
5. 파트타임(단시간근로)은 정직에 비해 근로시간이 짧을 뿐이다. 정직과 동일하게 근로기준법의 모든 조항이 적용된다
6. 파견노동자로 2년 이상 사용업체에서 일하게 되면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3.07.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노동 동일임금
2. 사내하청 노동자와 정규 노동자 임금격차 해소
3. 최저임금 전체 노동자 임금의 1/2 수준으로 인상
Ⅴ. 향후 비정규직노동자차별(비정규직근로자차별)의 개선방안
1. ‘동일가치노동 동일임금’ 명문화 반대 방침 관련
1)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3.07.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노동사회』72호(2003년 1월).
백운순, 「한국 비정규직 여성노동자들의 실태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부산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1.
유정자, 「비정규직 여성 근로자를 위한 복지 증진 방안」, 원광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0.
전국여성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5.11.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노동법제의 변화추세와 우리 노동법의 발전방향, 한국노동연구원
노동부 : 근로자파견이 고용에 미치는 영향 분석
송호근(2001) : 21세기 고용구조 변화와 비정규직 근로자 대책, 전경련
신수식(2005) : 현대고용관계론, 박영사
어수봉 외(2005) :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1.10.1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