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합검색
  • 대학레포트
  • 논문
  • 기업신용보고서
  • 취업자료
  • 파워포인트배경
  • 서식

전문지식 32건

| | | | | | 둥 | | | | | | | | | | | | 1. 길군악 2. 반길군악 3. 영산다르래기 4. 다드래기 5. 맺기위한 신호 6. 다드래기 맺음 7. 별달거리 8. 연결가락 9. 쌍진풀이 1 10. 쌍진풀이 2 11. 쌍진풀이 3 12. 쌍진풀이 4 13. 맺음가락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02.06.2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달거리>를 중심으로, 반교어문학회, 반교어문연구, 1998. 손태도, 「민요와 대중가요」, 한국학논집, 2001. 이창식, 「전통민요의 자료 활용과 문화콘텐츠」, 한국민요학회, 2004. 정혜원, 잡가의 서민적 정서와 표출양상, 상명대학교 인문과학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1.01.0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달거리 6 쌍진풀이 7 조름세 8 맺는가락 1 길군악은 느리게 내어 빨라지게 되면 가락이 묘한 변화를 산뜻한 맛을 준다. 2 반길군악은 굿거리장단이 변한 것으로 덧뵈기가락이라고도 한다. 3 다드래기는 빨리 연주하므로 힘있게 들리며 별달거리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9.04.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달거리[月齡歌]》의 후반부와 거의 같아 《달거리》에서 떼어낸 것이거나 민요이던 것을 《달거리》 뒤에 편입시킨 것이라고 추측하고 있다. 느린 4박의 굿거리장단에 의한 경쾌한 노래로, 가사 중의 매화는 꽃이 아니라 기명(妓名)이다. 서
  • 페이지 18페이지
  • 가격 2,200원
  • 등록일 2019.03.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달거리라고도 한다. ?동동?, ?관등가?처럼 임을 여윈 여자가 열두 달의 명절마다 임을 그리워하는 내용의 것이 오랜 역사를 가지고 전승되어 온 것도 있는데 이는 내용에 따라 ‘청상요’라고도 한다. 달거리의 특징은 민요적인 것도 있고 개
  • 페이지 46페이지
  • 가격 10,000원
  • 등록일 2007.01.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