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미국중남미 등은 흑자 지속하였다.
(주요 흑자지역) 對동남아 586억불, 對중국 536억불, 對미국 152억불, 對중남미 170억불, 對동구권 103억불
(주요 적자지역) 對중동 912억불, 對일본 255억불, 對호주 137억불
2절. 한중남미 지역 FTA 수출전망 및 대
|
- 페이지 37페이지
- 가격 4,000원
- 발행일 2015.12.11
- 파일종류 한글(hwp)
- 발행기관
- 저자
|
 |
미국의 추가 요구를 수용해야 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EU가 한-미 FTA 이상의 시장개방을 요구하거나, 반대로 한국의 기대수준 이하로 시장개방에 소극적일 경우 의외로 협상이 장기화 될 가능성도 있으며, 농산물 수출국인 동유럽
|
- 페이지 20페이지
- 가격 4,000원
- 발행일 2009.09.13
- 파일종류 한글(hwp)
- 발행기관
- 저자
|
 |
FTA로 경쟁력이 취약해진 산업에서는 해외투자를 확대해야 한다. 농업 부문의 구조조정은 농업이 보다 효율적인 산업으로 발전하기 위한 것이므로 시장이 육성 품목과 축소 품목을 결정하도록 해야 한다.
반덤핑, 상계관세 등 미국의 무역 구
|
- 페이지 36페이지
- 가격 3,000원
- 발행일 2008.01.03
- 파일종류 한글(hwp)
- 발행기관
- 저자
|
 |
한-캐 FTA
캐나다는 NAFTA 체결 이후, FTA를 경제 자생력 강화 수단 및 지나친 대미의존 탈피수
단으로 활용하여 1997년 이후 칠레, 이스라엘, 코스타리카 등과 FTA를 체결하였고 현재도
EFTA, 싱가포르, 중남미 4개국(엘살바도르, 과테말라, 온두라스,
|
- 페이지 21페이지
- 가격 3,300원
- 발행일 2014.06.08
- 파일종류 한글(hwp)
- 발행기관
- 저자
|
 |
한미 FTA 개방수준과 유사한 수준으로 개방되었으며, 개성공단문제도 협정발효 1년이 되는 날 한반도 역외가공위원회를 설치하여 한국산 인정여부를 최종 결정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한-EU FTA로 인해 국민후생 40억 달러 추가 증가 기대
EU는 2
|
- 페이지 38페이지
- 가격 3,000원
- 발행일 2009.12.27
- 파일종류 한글(hwp)
- 발행기관
- 저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