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합검색
  • 대학레포트
  • 논문
  • 기업신용보고서
  • 취업자료
  • 파워포인트배경
  • 서식

전문지식 17건

동녕부 함락 가을부터 동북면과 서북면 요해지에 만호와 천호를 많이 설치하고 원수를 보내어 동녕부를 쳐서 북원과 관계를 끊으려 하였다. 『고려사』권 41, 「세가」41, 공민왕 18년 11월 신미 군사 9월 재추들이 숭문관에 모여 서북면 방어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6.06.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경에서 일어난 역사적 사실을 가장 적절히 설 명한 것은? 고려는 원의 요구로 일본 정벌의 준비를 담당하였다. 원은 서경에 동녕부를 두고 주변 지역을 직접 다스렸다. 관제와 왕실에서 쓰는 용어를 바꾸었다. ① 고려의 상류 계층에서 몽고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06.11.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동녕부, 탐라총관부 관제개편 격하, 축소 왕호 : 조, 종 - 忠, 王 2성 6부 ⇒ 1부 4사 도병마사 ⇒ 도병의 사사 공납 - 공녀, 응방 <칠판2> 권문세족 친원파 권력 + 농장 + 노비 신진사대부 성리학자 과거 - 정계진술 지방 중소 향리 출신 개혁적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1.02.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동녕부(東寧府) 1270년 원이 고려의 서경(西京)에 설치한 통치기관으로서, 원은 1290년에 고려의 끈질긴 요구를 받아들여 이 지역을 고려에 돌려주고, 동녕부를 요동(遼東)으로 옮겼다. 를 공격하여 오로산성(五老山城)을 점령했다 김상기,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3.10.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관계를 ‘원 간섭기’라고 흔히 말한다. 고려는 원간섭기 동안, 동녕부(1269~1290년, 고려 서북부 일대), 쌍성총관부(1258~1356년, 고려 동북방)를 침탈당했다. 그리고 왕들의 시호에 ‘충’자가 들어가게 하였다. 충렬왕, 충선왕, 충숙왕, 충혜왕,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23.07.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취업자료 1건

동녕부사가 되어 광성부원군(光城府院君)에 봉해 졌다. 총융사를 거쳐 대제학에 올랐으며, 1680년 경신대출척때 훈련대장으로 공을 세워 보사공신이 되었다. 현종의 묘정에 배향 되었다. 시호는 문충공(文忠公)이다. 우리 광김의 최초 족보인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9.10.05
  • 파일종류 한글(hwp)
  • 직종구분 기타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