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판 굿 |
+--------+
+--------+
| 난 장 |
+--------+
< 두레굿의 의미와 놀이 >
굿이 사회를 정체시킨다고 하지만 굿 자체는 전혀 정체적인 것이 아니라 그것을 산출한 시대의 생산력 수준을 반영하는 것인 동시에 공동의 문화를 생산해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02.07.0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 1994
이보형, 마을굿과 두레굿의 의식구성
韓國의 巫俗 音樂
학 과
초등 음악 교육
지도교수
박 균
학 번
9 9 2 0 7 0 7
성 명
장 성 자
발 표
1999. 7. 1. 굿
가. 무당
나. 굿의 종류
다. 굿의 구조
2. 무속 음악
3. 지방별 무악의 구성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02.07.0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두레굿
단오는 농번기이기 때문에 상당한 준비를 필요로 하는 공동체 차원의 대동놀이가 아니라 개인놀이, 소집단놀이가 성행하였다. 그러나 농민들이 김매기를 하면서 두레풍장(두레풍물)을 하였는데 이를 두레굿이라고도 한다. 본래 두레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1.10.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두레굿
5. 판굿
Ⅴ. 풍물굿(풍물놀이)의 발전과정
1. 두레굿
2. 마을굿
3. 걸립굿
4. 연희굿
Ⅵ. 풍물굿패(풍물놀이패)의 구성과 역할
1. 잡색
1) 제의나 의식을 집접하는 사제자로서의 기능과 역할
2) 풍물패의 대장은 잡색의 우두머리
|
- 페이지 20페이지
- 가격 7,500원
- 등록일 2009.04.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두레굿(두레풍장)
5. 판굿
Ⅳ. 농악(농악놀이, 풍물, 굿)의 분류
1. 판굿. 지신밟기
2. 두레굿(품앗이굿)
3. 사물놀이
Ⅴ. 농악(농악놀이, 풍물, 굿)의 사회적 기능
1. 생활과 축제의 기능
2. 공동체적 기능
3. 갈등해소 및 신명의 기능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9.04.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