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화와 상징연구, 중앙대학교 한국문화유산연구소
* 임태홍(2007), 유교가 한국 건국신화에 미친 영향, 한국유교학회
* 이지영(2004), 한국 건국신화 연구의 동향과 그 전망, 동아시아고대학회
* 유영선(2001), 한·만주족의 시조선화에 대한 비교연
|
- 페이지 16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3.07.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스스로 띠자리 위에 Ⅰ. 가야 건국신화
Ⅱ. 고구려 건국신화
1. 양마
2. 출가
3. 건국
Ⅲ. 백제 건국신화
Ⅳ. 고려 건국신화
Ⅴ. 대하 건국신화
Ⅵ. 만주족 건국신화
1. 단군신화
2. 주몽신화
Ⅶ. 단군 건국신화
참고문헌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7,500원
- 등록일 2013.07.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신화의 비교학적 분석 및 인문학적 재정의, 한국중국소설학회
◇ 하영선(2007), 동아시아공동체 : 신화와 현실, 성균관대학교 유교문화연구소 Ⅰ. 개요
Ⅱ. 동아시아신화와 만족(만주족)
1. 4모링
2. 5모링
3. 6모링
4. 7모링
5. 8모링
6. 9
|
- 페이지 20페이지
- 가격 9,000원
- 등록일 2013.07.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Cooperation)
3. 기타
Ⅶ. 동북아시아의 안보협력
1. 현황
2. 다자간 안보협력체 부재의 원인
3. 한국과 동북아 다자간 안보체제
Ⅷ. 동북아시아의 건국신화
1. 티벳의 경우
2. 몽고의 경우
3. 만주족과 한반도의 경우
참고문헌
|
- 페이지 25페이지
- 가격 7,500원
- 등록일 2008.10.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만주족의 청(淸) 왕조는 영토를 넓히는 한편 문화적으로는 한족화를 추진해 중국의 모양이 갖게 됐다.
따라서 현 정부도 학생이나 일반 교육에 있어서 민족융합을 가장 중요한 사상교육의 일부로 포함시켰다. 이런 과정에서 소수민족들 역시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2.03.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