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맞춤법 tip! - 모음 ‘애’,‘에’,‘얘’,‘예’/‘의’,‘이’ 구별
1/ 모음 ‘애’,‘에’,‘얘’,‘예’의 혼동 : 발음상 잘 구별이 어려움
목욕 재계 / 기사 게재 / 연예인 / 끈을 매다 / 어깨에 짐을 메다 / 서류를 결재 / 자금을 결제
2/ 모음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3,360원
- 등록일 2013.05.1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맞춤법은 문법적인 지식이 없는 일반 언중을 대상으로 한 규칙이다. 여러 단어에 널리 쓰이는 접사는 언중들이 그 기능과 의미를 잘 알고 있을 가능성이 높으므로, 이들 접사가 쓰인 단어는 원형을 밝혀 적는 것이 독서 효율을 높이는 작용을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0.03.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맞춤법의 적용 대상
한극 맞춤법 제 1항을 보면 ‘표준어를 소리대로 적되, 어법에 맞도록 함을 원칙으로 한다’고 되어 있다. 그렇다면 표준어가 아닌 방언이나 옛말 등은 어떻게 적어야 할까? 한글 맞춤법에 따라 적는 것이 바람직한데 충청
|
- 페이지 32페이지
- 가격 3,500원
- 등록일 2012.07.0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동사의 어간 \'넘-\'에 어미 \'-어\'가 결합하여 이루어진 말로서 주로 \'넘어 가다\'처럼 동사가 이어질 때 연결어미로 사용된다.
예) 고개를 넘다. 여기 온 지도 한 달이 넘었다. 국경을 넘다. 위험한 고비를 넘다.
㉡ 너머 : 명사로서 \'산 너머
|
- 페이지 18페이지
- 가격 2,400원
- 등록일 2018.11.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맞춤법\'이 제정되고 난 후 이에 맞춰 사이시옷 현상이 발생한 것이 아니라 \'사이시옷\'의 발생이라는 현실에서 이를 설명하기 위한 이론과 근거가 연구되고 있는 실정으로 공식적으로 고시된 맞춤법 규정이나 의미론적 접근, 통사적 접근 등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3,700원
- 등록일 2017.01.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