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명사와 형용사의 어순 : X = 명사/형용사 - = 형용사/명사
④명사와 지시사의 어순 : X = 명사/지시사 - = 지시사/명사
⑤명사와 수사의 어순 : X = 명사/수사 - = 수사/명사
#. 표는 0은 대립되는 두 가지 순서가 모두 나오는 경우를 뜻한다.
1. 형용사
|
- 페이지 17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6.07.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속격 명사구의 통사 구조와 의미, 언어과학연구19, 언어과학회
ⅲ. 안주호, 연결어미 -길래의 통사의미적 특성, 국어 문법의 탐구 Ⅴ, 태학사
ⅳ. 이윤표, 고려대장경에 나타난 고전범어문법의 통사론, 고려대장경의 고전범어문법 연구, 월인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9.09.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속격구문에서도 고대영어에서는 속격이 명사 앞에 위치하는 비율이 50% 이상으로 여전히 OV형으로 강하게 드러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참 고 문 헌
1. 어순 비교 연구/ 문경애, 전남대학교 출판부 [1993]
2. 英語의 語順과 그 變異 / 한영희 (韓永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6.03.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명사 기원형
속격ㅅ이 남아있는 것
께, 까지 (,께서)
중세의 높임법 반영,
장소의 의미에서 변화
속격ㅅ이 없는 것
대로, 에게
③동사 기원형
목적어와 함께 쓰인 것
가지고, 더러, 보고, 부터, 하고 등
'을/를' 없어짐
다른 성분과 쓰인 것
가,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02.07.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명사나 형용사에서 문법적인 성(grammatical gender)을 나타내는 기능이 사라지고, 명사에서는 또 속격형(genitive)을 제외하고는 대체로 격(case)를 나타내는 뚜렷한 격형도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 등 격변을 겪는 과정에서도 외부로부터의 강제적 압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6.08.0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