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하중을 준다.
3개의 게이지의 처짐량을 측정하여 기록한다.
추의 무게를 변화시키며 실험을 부터 까지 반복한다. 단, 양단 단순 지지보일 때 측정값의 정확성을 위해 3번 반복 측정한다.
5. 처짐량 계산
* 모멘트와 힘을 동시에 계산한다.
- 따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8,400원
- 등록일 2013.05.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실험 data를 보면 편심이 일어날 경우 임계하중값이 편심이 없을때 보다 작게 나와야 하는데, 비슷하게 나온 것을 볼 수 있다. 소성변형에 의해 잔류응력이 남아 있기에 편심이 없을 때, 작은 힘에도 더욱 큰 변형이 발생한 것이다.
이론값과 실
|
- 페이지 16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9.05.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실험 방법 및 장치
3.1 실험방법
3.2 실험장치
4. 실험 결과 데이터
5. 요약 및 결론
5.1 결과 데이터 요약표
5.2 결과 고찰
5.3 Load Control 대신 Displacement Control을 사용한 이유
6. 질문 사항
6.1 강하 량 (Axial Disp.) = 휨으로 볼 때,
|
- 페이지 20페이지
- 가격 10,000원
- 등록일 2013.01.08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측정하는 사람은 위의 상쇄추를 올려놓을 때 추가 떨어지면 부상을 입을 수 있으므로 이에 유의한다.
6. 처짐량 공식 유도
7.실험결과
1) 양단 고정 지지보
◎ 집중하중(단위: mm)
추의 무게
Gauge
실험값
이론값
오차율
5N
1
-0.56
-0.518
-8.1
2
-1.23
-1.21
|
- 페이지 17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9.10.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보의 spen에 변위를 800, 700, 600, 500씩 달리 하여 실험을 실시한다.
이 실험도 이론식과 비교를 할 수 있다.
탄성 계수 E= 205KN/ , 단면2차 모멘트 I =
이 이론식을 가지고 데이터값과 비교 할 수 있다.
<데이터값>
하중(N)
스팬길이(mm)
처짐량(mm)-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4.06.2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