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처짐량은 증가함을 알 수 있다.
PART 4. 보의 굽힘량을 이론식과 실험식으로 비교한다.
실험방법
1. 스팬길이를 500mm로 하고 스팬에서 100mm씩 양쪽을 거리를 둔다.
2. 보의 중앙에 다이얼게이지와 베이스를 설치하고 100mm의 거리를 둔 양쪽에
클램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4.06.2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처짐값의 오차가 점점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오차 문제는 Strain gage의 부착 문제와 수치를 읽는 값의 오차를 먼저 들 수 있었다. 또한 다이얼 게이지가 민감하다보니 많은 실험의 과정을 거치면서 변형률의 문제가 있었음도 알 수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0.02.0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처짐량(x1)
0.114
0.342
0.570
0.798
처짐량(x2)
0.082
0.245
0.408
0.571
<표 7> 보의 처짐량(이론치)
다이얼 게이지에 의한 측정값mm
1 kg
3 kg
5 kg
7 kg
1번째
2번째
1번째
2번째
1번째
2번째
1번째
2번째
처짐량(x1)
0.25
0.25
0.81
0.82
1.42
1.41
2.08
2.08
평균
0.25
0.82
1.41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9.09.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처짐방정식과 처짐각방정식은 다음과 같다.
실험방법 및 실험장치
실험장치의 대략적인 개략도는 다음과 같다.
실험순서는 다음과 같다.
▶다이얼게이지의 영점을 조정한다.
▶첫 번째로 양단고정지지보의 측정을 위해 보의 끝에 핀을 꽂는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5.11.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다이얼게이지의 값을 측정하여 기록했다. 그리고 단면 2차 모멘트를 보의 높이, 폭을 통해 구하고 강재의 탄
성계수는 알고 있으므로 남은 것은 모멘트를 통한 처짐량 계산이었다. 강재에 하중을 올려 그 변위량을 비교해보면 이론값에 비해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4.12.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