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활자 주조가 계속되었다. 국가적 사업으로서 또한 활자의 주조 연대에 따라 간지명이 붙어 있는 예는 다른 나라에서는 볼 수 없으며, 문화에 대한 국가적 의식이 얼마나 높았던가를 입증해 주고 있다.
Ⅵ. 목활자본과 금속활자본의 식별법
판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9.03.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인쇄문화의 발달과정을 한눈에 알아 볼 수 있도록 신라, 고려, 조선시대의 시대별 인쇄문화의 특징과 설명을 알려주고 목판본, 금속활자본, 목활자본 등의 장단점과 쓰임을 설명하고 있었다.
또한 동양, 서양의 인쇄문화를, 현대, 미래의 인쇄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11.07.0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법
2.3.3 중국의 형태서지학 전개
2.3.4 한국의 형태서지학 전개
제3장 冊의 기원 및 명칭
3.1 冊의 기원
3.1.1 죽간목독(竹簡木牘)
3.1.2 간독(簡牘)의 필사(筆寫)
3.1.4 간독(簡牘)의 편철(編綴)
제4장 책(冊)의 장정(裝訂)
4.1 장정(裝訂) 변천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02.11.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금속활자인쇄술
고려 말 청주 흥덕사에서 찍어낸 직지심체요절은 세계에서 가장 먼저 금속활자로 찍은 책이다. 이는 1972년 유네스코에서 공인을 받은 것이다. 이 책의 마지막 장에 인쇄시기(1377년), 인쇄장소(청주목 흥덕사), 인쇄방법(활자인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8.09.2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법을 모색하는 것이 중요하다.
Ⅳ. 참고문헌
천혜봉. 「한국서지학」. 민음사. 1997.
옥영정. 「동아시아 금속활자 인쇄 문화의 창안과 과학성」.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2017.
최태호 외. 「목판본과 금속활자본의 식별을 위한 기초연구」. 한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25.03.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