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처용의 이름
1. 곳 처(處)
굿 처 -> 곳 처
2. 제웅
: 무속세계에서 쓰이는 액막이 인형
처용이라 불리기도 한다.
· 제웅의 향찰식 표기가 처용
· 무속인 = 차차웅 -> 처용 -> 제웅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19.05.02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처용의 행위는
무속신앙의 무격과 같은 역할을 담당했던 인물로 볼 수 있다. 즉, 신라 헌강왕 때
에 처용굿은 나라의 불안한 조짐을 없애는 제액의 일을 담당했던 것이며 신라 처용
가는 고려시기에 와서 춤과 노래와 놀이로 다양하게 연행되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02.12.1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노래와 기록문
1. 처용랑과 망해사
Ⅲ. 처용은 누구인가
1. 불교적 측면
2. 무속적 측면
3. 역사적 사회적 측면
Ⅳ. 결 론
참고서적
후기 Ⅰ.서 론
Ⅱ. 노래와 기록문
1. 처용랑과 망해사
Ⅲ. 처용은 누구인가
1. 불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02.10.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처용의 위력
∴ 처용가의 주제는 “邪進慶”이 되고, 섣달 그믐 전날 궁중에서 儺禮에서 이 노래가 驅儺의식에 쓰였다는 기록과 맞아떨어진다. 그러므로 처용의 정체는 신격화된 무당이 된다.
Ⅳ. 고려속요(고려가요) 쌍화점 작품분석
1. 원문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7,500원
- 등록일 2013.07.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처용의 앞에 꿇어 앉아서 \"제가 공의 부인을 흠모하여 지금 범했는데, 공이 보시고도 노여워 안하시고 도리어 노래를 부르시니 이 후로는 공의 화상만 있는 곳이라도 결코 들어가지 않고, 피하리다.\" 하고 사죄하였다. 그로부터 나라 풍속에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4.06.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