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모음 발음의 실제와 이론적 고찰〉, 국어학 연구, 2018.
최경원, 《한국어 음운 체계의 재조명》, 서울대학교 출판부, 2020. 1. 서론
2. 한국어 단모음 체계의 이론적 고찰
2.1 현행 학교문법의 10모음 체계
2.2 8모음 체계의 주장과 근거
2.3 7모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25.02.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더라도 세대별로도 발음 양상에 차이를 보인다는 것을 확인하게 되었다.
4. 출처 및 참고문헌
곽충구 (2003). 현대국어의 모음체계와 그 변화의 방향. 국어학, 41, 59-91.
한국어 어문 규범. 문화체육관광부 고시 제2017-13호(2017. 3. 28.) 출처: https://kor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24.01.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모음이다. 그러나 표준 발음법에서는 이중 모음인 ‘ㅞ[we]’와 ‘ㅟ
[wi]\'로 발음하는 것을 허용하고 있다. 1999년에 나온 표준어 규정과 2002년에 개정보완
된 학교 문법에서는 기본적으로 국어의 단모음으로 10개만을 인정하고 있으나, 표준어
|
- 페이지 33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6.01.0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모음 체계는 최대 10모음 체계, 최소 8모음 체계이다.
③ 제5항, 제4항 [붙임] : 국어의 이중 모음 목록은 최소 11개, 최대 12개이다.
④ 제5항 ‘다만 2’ : 자음과 이중 모음 ‘ㅖ’의 연쇄를 피하려는 제약이 있지만, 이 제약이 필수적이지는 않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3,300원
- 등록일 2012.09.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문법 여러 가지가 있지만 나는 역사를 우선시 한다. 역사라는 것은 그 나라의 재산이라고 생각한다.
그렇다면 국어의 역사를 연구하는 목적은 무엇일까?
첫째, 우리 민족의 역사 전체에서 볼 때 국어의 역사는 그 한 부분이 된다. 우리 민족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5.03.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