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992), 한국어 통사론, 대우학술총서인문사회과학 67, 민음사
이익섭(2003), 국어부사절의 성립, 태학사 1. 서론
2. 본론
2-1. 문장의 확대
2-2. 어미
2-3. 인용절
2-4. 연결어미의 종류
2-5. 종결어미
2-6. 전성어미
3. 결론
4. 참고문헌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3,700원
- 등록일 2023.02.2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사고기
2. 직관적 사고기
3. 유아기 사고의 최근연구
4. 기억용량의 증가
5. 기억전략의 발달
6. 상위기억의 발달 및 지식기반의 확대
7. 단어와 문장 활용 능력의 발달
8. 문법의 발달
9. 의사소통 기술의 발달 및 언어와 사고의 관계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12.04.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어미, 종결어미, 어말어미, 전성어미 중 가장 상위의 범주는 종결어미이다.
(12) 문장의 종결어미는 문장의 종류를 나타내 주고, 상대경어법을 실현하며 문장의 시제를 나타내 주는 기능을 한다.
(13) ‘하늘에 떠가는 구름을 보고 있다’에서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20.11.1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문장과 부사절의 구분 문제는 여전히 미제로 남아 있다. 이관규의 견해대로 종속적으로 이어진 문장을 부사절에 포함시킨다면 이 문제는 해결될 수 있다. 하지만 “모든 내포문은 전성 어미를 통해서 내포문 역할을 하게” 되는데, 종속적 연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1.11.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어미 '-시'를 중심으로 본 높임법의 오용
결론적으로 지식화 되어 있고 문법으로 규정되어 있는 높임법은 마땅히 올바르게 쓰여야 당연하다. 그러나 사회의 문화와 특성이 격식에서 비격식으로 변화해 감에 따라 높임법의 사용 또한 공식적인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5.10.3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