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받아 선암(僊巖)의 회두리를 맺을 만하다 하겠다. - 최남선, 심춘순례 -
희나리 : 채 마르지 아니한 장작.
예) 장작개비의 희나리가 터지는지 탁탁 튀는 소리가 드럼통을 개조해 만든 화덕 문틈에서 내 나왔다. - 김소진, 그리운 동방 -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5.12.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완성하여 공개한 시기
세종 25년 12월
ㄴ. 해설서 '훈민정음'이 완성된 시기
세종 28년 9월 훈민정음
문학작품 속의 사라진 말들
한자어로 인해 사라진 순 우리말
유행어, 신조어로의 변화
사라지는 방언
|
- 페이지 17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1.08.16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문학회 글로세움 2003
『한줄도 너무 길다』 류시화 이레 2000
『겨레에 담긴 옛시조 감상』 김종오 정신세계사 1990
『바쇼 하이쿠의 세계』 유옥희 보고사 2002
『일본시가문학사』 최충희 태학사 2004
『순간속에 영원을 담는다』 전이정 창비 2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7.07.0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문학에 대해 생각해 볼 수 있는 기회를 가질 수 있었던 시간들이 정말 소중한 순간들이었다고 생각한다. Ⅰ부
개인 발표
* 중등 국어과 교실 평가 연구 - 교실 수업 공개와 참관을 통한 두 국어 교사의 변화와 성장의 체험 (발표 : 엄훈 (관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6.01.0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문학작품과 역사적인 방언의 분화를 통해 방언을 살펴보면서, 방언의 가치와 중요성 그리고, 지역의 특성을 대표하는 아이콘으로서의 방언을 볼 수 있었다.
사라져 가는 수많은 언어 속에서도 우리는 고유의 언어유산을 잘 보전해 왔다. 서두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6.05.1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