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민요를 말한다. 따라서 다른 놀이의 흥을 돋구기 위한 목적을 가진 민요나 노래 자체를 즐기기 위하여 부르는 민요 둘 다 유희요의 범주에 포함된다.
4. 민요의 자료
모심기 노래 (노동요)
<선창자> 이논에다 모를심어 장잎이 가. 민요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600원
- 등록일 2008.02.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노래와 모심기노래를 통칭해서 부르는 토착 명칭이다. 경상남도와 경상북도 일부에서 이러한 명칭이 사용된다. 이상과 같은 구분이 타당하면서도 세부적인 문제점 모두를 해결하지 못했다.
고정옥은 민요의 율격은 음수율에 철저하게 의존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3.07.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모심기 소리에 이 공갈못의 사설이 들어가게 된 것으로 보인다. 상주모심기소리는 상주모심기노래 또는 \"상주 연밥 따는 노래\"라는 다른 명칭도 가지고 있다.
오늘날 여러 작곡가들이 이 곡을 합창곡이나 가야금 독주곡 등 여러 가지 형태로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200원
- 등록일 2004.07.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많다. 그 예로 경기도 여주군에선 모심기노래로 <아라리>를 부른다. 지금까지 우리에게 널리 알려진 민요들은 대부분 노는 자리에서 부를 만한 유흥민요다. 하지만, 민요가수들이 즐겨부르는 유흥요 외에 민간에서 부르는 수많은 유흥요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1,200원
- 등록일 2005.03.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노래에 나오는 대상이 ‘님’인지 아닌지 확실하지 않고 성관계의 대상으로 나타난다.
가지말게 가지말게 자네부모 천년살며
우리부모 만년사나 우리둘이 매양살지
(시집살이 민요, 벽진면40)
여게꼽고 저게꼽고 쥔네마느레 거게꼽고
가지가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8.08.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