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모델을 정착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1. 박정희식 개발 모델과 북한
2. 냉전의 유산과 북한의 발전 전략 변화
1) 냉전의 유산
2) 북한의 발전 전략 변화에서 냉전이라는 변수
3. 수출지향 산업화: 마산수출자유지역과 북한의 경제특구
1)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900원
- 등록일 2005.07.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마산상공회의소, 1987, 마산상공회의소 90년사
박문정, 1996, "마산 수출자유지역의 경제적 성과와 장기발전 구상", 경남대학교 경남지역문제연구원 편, 마산 창원지역 연구 (경남대 출판부): 69-108
부마 민주항쟁 기념사업회, 1989, 부마민주항쟁
|
- 페이지 16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4.06.1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박정희 대통령-그 인간과 사상], 서울신문사, 서울.
이창복(1974), '마산수출자유지역의 실태', [창작과 비평] 겨울호, 창작과 비평사, 서울.
이태수(1984), '지방자치란 무엇인가 ?', [마산문화] 3집, 청운, 마산.
이학룡(1989), '증언', 부마항쟁기념사
|
- 페이지 53페이지
- 가격 3,300원
- 등록일 2002.07.0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박정희정권의 고도 성장기에 더 높아짐.
-수출지향적 공업화는 노동자에 대한 극심한 착취를 기반으로 함 ; 노동의 기여도가 절대적이나 경제성장에 따른 과실 분배에서 노동자 소외
-지역적 편중성 및 수출공업과 내수공업 사이의 격차를 줄
|
- 페이지 18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1.04.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마산 건설을 위해 모두가 합심하여 쉬지 않고 매진하고 있다. 최근의 마산
Ⅰ. 민주주의 성지로서의 마산
1. 자유당정권의 독재와 4월혁명의 태동
2. 3·15 부정선거와 마산항쟁
1) 不正投票의 지령과 抗爭의 개시
2) 3·15 馬山抗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02.12.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