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해문화』집문당
한국고대사학회, 2004『고구려의 역사와 문화유산』서경출판사
박진석, 강맹산, 1995『중국경내 고구려 유적 연구』예하출판사
최무장, 1992『고구려와 발해의 고분 비교』한국고대학회
이호관,『고구려 고분』민족문화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8.01.0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강유역, 내몽고 및 시베리아의 연해주지방에서의 토기발견등이 있고 성읍국가가 출현하면서 부터는 부여, 고구려, 발해와 같은 나라들의 생활 터전이 되어 왔다. 그리고 지리적 조건을 들어서 주장하고 있는 우리나라의 타율적인 역사는 우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3.12.10
- 파일종류 워드(doc)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발해의 한국사귀속 주장 등 그가 도대체 어떤 면에서 식민사관을 따른다고 하는지 모르겠다.
다만 조선의 붕당에 대해서는, 식민사학의 당파성이론을 조금이나마 긍정하는 면모를 보여 아쉬움이 있긴 하지만, 소위 자칭 "민족주의사학"인지 "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400원
- 등록일 2013.10.0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