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가게 하며 기를 내리며 백작약은 진통하며 혈을 조화롭게 하니 단서는 신농본초경의 적작약이 혈비를 제거하며, 단단한 적을 깨며, 진통하며 소변을 잘 나가게 한다는 뜻을 벗어나지 않는다.
其主寒熱疝者,善行血中之滯也,故有瘀血留著作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9.08.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혈병을 치료한다.
又曰後忌用.
또한 산후에는 백작약 사용을 금기한다고 한다.
(丹溪曰以其酸寒伐生發之氣也,必不得已,酒炒用之可耳。)
주단계가 말하길
(時珍曰後肝血已虛,不可更瀉也。)
이시진이 말하길 산후에 간혈이 이미 허하면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9.06.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백작약, 산치자, 천화분 각각 2.4g, 백출, 맥문동(여름철에는 많이 사용하고), 사삼 3.2g, 현삼 2g, 황백 1.2g, 감초 0.8g, 생강 3조각을 물에 달여 복용한다.
或以山藥으로 代蔘 朮이라.
혹은 산약으로써 인삼, 백출을 대신한다.
久服이면 去川芎하고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7.04.0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백작약이고 비혈화는 생지황이다.
肺
폐
(氣,石膏;血,梔子。)
폐기화는 석고이고 폐혈화는 치자이다.
腎
신
(氣,知母;血,黃柏。)
신기화는 지모이고, 신혈화는 황백이다.
膽
담
(氣,連翹;血,柴胡。)
담기화는 연교이고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7.03.0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귀질려작 목적하고초방풍.
이미 오풍의 부족증상을 생성하면 오풍보간산 안에 천궁 숙지황 당귀 질려 백작약 목적 하고초 방풍을 넣는다.
方劑:
烏風補肝散方
오풍보간산방
組成:
川芎 熟地黃 當歸 藜 白芍藥 木賊 夏枯草 防風(各一錢)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6.07.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