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羊脛骨
양경골
(酒。)
양 정강이 뼈는 술로 복용한다.
虎脛骨
호랑이 정강이 뼈
(酒。主諸風注痛。)
호경골은 술에 복용하고 함께 여러 풍으로 주입되는 동통을 주치한다. 穀菜곡식채소
과일나무
벌레
날짐승
들짐승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7.02.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벌레와 날짐승과 길짐승과 인간의 공존을 주장한다. 이는 인간이 지구의 유일한 주인이 아니라는 자각 때문이기도 하지만, 인간이 인간만의 탐욕을 추구하다 위기에 처하는 것은 자연이 아니라 인간이라는 자각 때문이기도 하다. 따라서 '단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8.08.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길짐승, 날짐승, 벌레, 풀, 나무, 물고기 등이 등장. 작가는 이들을 의인화하여 인간처럼 이야기하고 토 론하게 하여 인간의 특정한 면을 유형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인물의 묘사방법은 각각의 동물들이 자신들의 연설을 통해서 스스로 성격을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3.10.1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벌레와 날짐승
白蠶
백강잠
(痰 丸服.)
백강잠은 담학은 환으로 복용한다.
鯉甲
능리갑
(痰 寒熱 同乾棗 燒硏服 同酒蒸當歸 柴胡 知母 丸服.)
능리갑은 담학, 장학, 한열학을 치료하니 마른 대추와 함께 태워 갈아 복용한다. 술로 찐 당귀, 시호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7.03.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날짐승과 길짐승, 현실세계에 실재하는 호랑이, 사슴, 코끼리, 원숭이, 멧돼지 등 39마리의 동물과 악사 산중의 신선 등 16인의 인물상이 표현되고 있다. 이밖에도 6군데의 나무와 12군데의 바위, 산중턱을 가르며 난 산길, 산 사이로 흐르는 시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200원
- 등록일 2009.02.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