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형식의 명문(銘文)을 넣은 위치를 설정한 점이다. 이는 고려시대 종의 시원적인 형식으로 꼽을 만한 것이다. 이 밖에 고려시대의 범종으로는 1058년의 청녕4년명동종(淸寧四年銘銅鐘)과 1222년에 조성된 내소사동종(來蘇寺銅鐘)등이 있다.
|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5.01.0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범종 [梵鐘] (두산백과)
[네이버 이미지] 범종
침투탐상검사, 김만순 저, 노드미디어, 2017년 2월 20일 개정
KS B 0816 침투탐상시험방법 및 지시모양의 분류, 한국표준협회
[네이버 지식백과] 청동 [bronze, 靑銅] (두산백과) 1. 서론
1.1 - 범종의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8.10.3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범종과 보광사 숭청 7년명 동종, 봉은사 강희 21년명 범종, 선암사 대각암 순치 14년명 동종, 선원사 동종, 직지사 순치 15년명 동종, 능가사 범종(楞伽寺 梵鐘) 등은 조선 후기에 속하는 범종으로 이때에는 본래의 우리 나라 범종의 형태나 양식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4.04.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식(자엽이 3단)과 연자와 자엽 사이 2중 테두리가 있으며, 연자 안에 자방이 9개 있습니다.
6 하대(下帶)
- 8개의 연화문(蓮華文)이 매듭을 지으면서 그 사이에 있는 보상화 당초문(寶相華唐草文)은 크고 입체적, 역동적으로 조각되어 있습니다.
-
|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5.01.0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범종(梵鐘)을 말함이니 범종은 지옥에서 고통받은 중생을 위해서 만들어 젖으며, 셋째, 북은 네발 가진 짐승들을 구원하기 위하여 만들어 졌고, 네 번째는 운판(雲版)이 있으니 이것은 하늘을 나는 새들을 구원하기 위함이며 이 네 가지 악기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7.04.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