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합검색
  • 대학레포트
  • 논문
  • 기업신용보고서
  • 취업자료
  • 파워포인트배경
  • 서식

전문지식 49건

종구(鐘口)는 곡선을 여덟 번 반복해서 띠를 이루고 있는 팔능형(八稜型)이며 이것은 조선종의 특징입니다 1. 용유(龍紐)와 음관(音管) 2. 천판(天板) 3. 상대(上帶)와 유곽(乳廓), 유두(乳頭) 4. 비천상(飛天像) 5 당좌(撞座) 6 하대(下帶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5.01.0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종의 양식적 특징은 유곽밑에 위패(位牌) 형식의 명문(銘文)을 넣은 위치를 설정한 점이다. 이는 고려시대 종의 시원적인 형식으로 꼽을 만한 것이다. 이 밖에 고려시대의 범종으로는 1058년의 청녕4년명동종(淸寧四年銘銅鐘)과 1222년에 조성된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5.01.0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이다. 그 46년 뒤인 771년(혜공왕7)에는 사상 최대의 걸작인 성덕대왕 신종이 탄생하였다. 범종은 불교의 상징물이며 강력한 왕권전제 국가의 산물이다. 종을 만들어서 부처님의 진리나 자비를 담아서 온 누리에 퍼지게도 하고, 역사에 기록될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9.05.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ㄱ. 범종이란? (불교 사찰에서 사용되던 종) - 불교를 의미하는 “梵”자를 붙임. ㄴ.범종의 기원설 – 신뢰할 만한 자료는 없음. ①중국고동기기원설 - 鎛(박), 鉦(정), 鐘(종) 중 종의 모방 ②종과탁혼합기원설 – 종과
  • 페이지 21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07.07.25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을 움푹 파놓은 명동이라는 것이 없다는 점이었다. 이 명동은 종의 공명효과를 극대화 시켜 바닥으로 울리는 소리의 파장을 모아 종속에서 울리게 해주는 역할을 하는데 전등사범종에는 이것이 없었다. 아마 원래 있던 종을 공출당하고 지금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1.11.1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