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약은?
개화론과 척사론의 대립
청과 일본의 세력 다툼
민씨 세력과 흥선 대원군의 대립
① 한성 조약② 톈진 조약
③ 강화도 조약④ 제물포 조약
⑤ 베이징 조약
60. 임오군란이 일어나게 된 집적적인 계기는? (상경, 수영여)
① 청의 내정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06.11.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조약이 체결된 뒤 베이징무역은 쇠퇴하고 캬흐타무역이 융성해졌다. 1768년 도망자의 처벌을 규정한 제10조가 개정되었으나, 1860년의 베이징조약에 따라 캬흐타조약은 폐기되었다.
이렇게 캬흐타 조약으로써 청대의 국경이 확립되었다고 볼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400원
- 등록일 2006.06.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북경협정 :① 북경에서 외교사절의 상주, 수시 입경의 승인, ② 조약항 11개소 증가 : 화중 화남, 남만주로 확대 ③내지 여행권의 확대 : 5일간 여행거리는 여권 불필요 ④공문서에 夷자를 사용하지 않도록 함⑤중국인의 외국 도항의 승인 고역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4.06.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네르친스크 조약
네르친스크 조약은 시베리아의 네르친스크(니포초)에서 1689년에 청과 러시아 제국 사이에 체결된 조약이다. 이 조약은 중국 역사상 처음으로 국가간의 평등한 위치에서 맺은 조약으로서 당시 동양 국가들이 맺는 대국-소
|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500원
- 등록일 2014.06.08
- 파일종류 워드(doc)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조약을 체결하였다. 이 조약에서 북한은 한반도와 러시아의 국경은 두만강 하류 지역임을 전제로 하고 있다. 조약의 제1조 제1항에서 쌍방은 국경선을 39.4km로 확정하고, 그 가운데 17.3km에 해당하는
두만강에서는 탈베크의 원칙 Talweg. 하천상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07.06.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