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도연맹, 역사비평사
김동춘, 2000, 전쟁과 사회, 돌베게
김선호, 2002, 국민보도연맹사건의 과정과 성격, 경희대사학과석사학위논문
김성환, 2000, 1950년 경산 코발트 광산 학살현장, 「말」2월호
김태광, 1988, 해방 후 최대의 양민참극 보도연
|
- 페이지 26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13.01.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양민학살사건 등 3건이다.
정부에서 마음만 먹는다면 보도연맹사건이든, 통영·거제사건이든 모두 이 법에 의한 명예회복조치가 가능하다는 게 법률가들의 견해다. 따라서 중요한 것은 국민의 여론이고, 이에 따른 정부의 의지인 것이다.
----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02.10.0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보도연맹원이 당한 학살사건과 비교하면 별 것이 아니다”면서, “진주지역 보도연맹원 학살은 진주의 특무대장 탁소령이 저지른 만행이며, 좌익제거라는 미명하에 친일파들이 독립운동가 같은 정적제거에 그 목적이 있었기 때문에 전쟁을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02.10.0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보도연맹사건을 은폐하고 있다.
<분단을 넘어서>, <1950년대의 인식>, <해방전후사의 인식> 1·2편을 다 읽어봐도 없다. 중앙일보사에서 펴낸 <민족의 증언> 여덟권을 샅샅이 읽어봐도 없다. 밤을 새워 읽느라 눈만 상했다.
누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02.10.0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보도연맹원의 체포와 사살을 명령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진실화해위는 밝혔다.
진실화해위원회에서 보도연맹사건에 대한 진상조사및 여러가지 밝혀내었으나, 학살을 지시한 명령체계등 사건의 전말을 규명하지 못한채 국민보도연맹 사건에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9.12.2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