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까치의 문화 상징
1) 길조의 대표, 까치
2) 예조로서의 까치
3. 제비의 문화 상징
1) 계절과 날씨를 알려주는 제비
2) 풍수지리에서 나타난 제비
4. 까치와 제비의 공통 상징
1) 신의 사자, 신의 뜻을 전하는 새
2) 복과 재물을 가져다주는 새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600원
- 등록일 2012.12.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제비
3-1 까치의 경우
3-2 제비의 경우
4. 자연현상을 알려주는 까치와 제비
4-1 까치의 경우
4-2 제비의 경우
5. 그 밖의 상징
5-1. 반가운 소식과 사랑을 전하는 까치
5-2 점잖고 예의 바른 까치
5-3 까치성의 유래
5-4 고전소설에 나타난 까치
|
- 페이지 18페이지
- 가격 2,200원
- 등록일 2012.12.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제비는 신격을 확보하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받들어진 제비의 성조신(가신)적 면모는 그 숭앙의 결과에 의해 잘 드러난다. 이본에 따라 흥부 박사설에서 흥부에게 획득되는 재물의 차이는 있으나, 쌀궤와 돈궤, 비단, 세간, 고대광실 같은 집
|
- 페이지 16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1.10.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나타난다.
과 연결시키는 견해도 있다. 성기신앙은 후에 이물 결합 설화에 차용된다고도 할 수 있다.
그리고 거북이를 신성시 여기는 생각은 후대에까지 이어져서 복을 가져다주는 동물 이라든가, 은혜를 갚을 줄 아는 동물이라든가 하는 식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2.12.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신 호랑이』, 생각의나무, 2009, p.324.
오히려 한국의 호작도는 주술적 실용성이 강조된 서민회화로 소박하고 순진한 느낌이다. 반면 일본의 호작도는 장식성이 강조되었으며 화려하고 강렬한 느낌이며, 오히려 털이나 눈·입 등을 세세하고 사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6,000원
- 등록일 2013.06.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