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합검색
  • 대학레포트
  • 논문
  • 기업신용보고서
  • 취업자료
  • 파워포인트배경
  • 서식

전문지식 175건

蓮(木饅頭 木蘭 木芙蓉) 목련 목만두 목란 목부용 白幕(天雄 白英 白薇) 백막 천웅 백영 백미 立製石(理石 (독이 있는 돌 여; 石-총19획; yu,yu) 石 石膽) 입제석 리석 여석 석담 守田(半夏 (봄보리 망; 艸-총12획; wang) 草 狼尾草) 수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7.01.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명대에 '본초강목'이라는 유명한 의학서가 나왔지만 조선은 이를 더욱 발전시켜 동의보감이라는 세계적인 명저를 탄생시켰다. 그러나 조선은 국가 위기에 치할 때는 중국에 의지하려는 경향을 보였다. 19세기 말 청조가 이미 서태후의 통치
  • 페이지 28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7.06.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명대 말기에 출간된 본초강목과 천공개물역시 강서 문화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나. 도연명에서 구양수까지 강서 문화의 흥기는 1000년에 가까운 긴 역사를 자랑하고 있다. 동진의 도연명(陶淵明, 365~427)은 가장 먼저 강서 문단의 거성으로 우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9.05.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명대의 약학서 저자 이시진(李時珍)의 "본초강목 (本草綱目)"에는 마음을 진정시킨다. 얼굴에 바르면 윤택해지며 피부의 종기를 사라지게 하는 등 소아의 경열을 없애고, 두, 정의 독을 풀고, 난산에 진주의 효용을 열거 미용효과, 정신안정효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10.05.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본초강목 【集解】 집해 (時珍曰燭有蜜蠟燭、蠟燭、 柏油燭、牛脂燭,唯蜜蠟、 柏油者,燼可入藥。 ) 이시진이 말하길 촉에는 밀랍촉, 충랍촉, 잣나무기름촉, 소기름촉, 유밀촉, 잣기름촉이 있으니 깜부기불이 약에 들어갈 수 있다. 【氣味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7.06.1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논문 1건

마늘 5. 조미료로서의 마늘의 역할 6. 요리법 7. 좋은 마늘의 선별 8. 본초강목에서의 약효 9. 참고문헌 <표 차례> <표 1> 자료 : 몸에 좋은 음식물 (미우라 마사요, 2000, 사람과 책) <표 2 > 각종 양념의 비타민 함량비교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800원
  • 발행일 2010.02.21
  • 파일종류 한글(hwp)
  • 발행기관
  • 저자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