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Ⅰ. 국어 어미의 기능
1. 선어말어미
2. 문말어미의 기능
Ⅱ. 국어 명사형어미
Ⅲ. 국어 부사형어미
Ⅳ. 국어 의문어미
Ⅴ. 국어 서술어미
Ⅵ. 국어 연결어미
Ⅶ. 국어 어미의 오용 사례
참고문헌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0.11.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특징
Ⅱ. 국어 어미의 모음조화
Ⅲ. 국어 의문어미
1. 중세 국어 의문어미의 특징
2. 근대 국어 의문 어미의 특징
3. 의문 어미의 변천
Ⅳ. 국어 약속어미
Ⅴ. 국어 연결어미
Ⅵ. 국어 명령어미
Ⅶ. 국어 부사형어미
참고문헌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1.04.0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어미와 부사형어미, <말> 10. 연세대 한국어학당.
8. 박창해. 1990. <한국어 구조론 연구>. 탑출판사.
9. 서정목. 1983. 명령법어미와 공손법의 등급, <관악어문연구> 8. 서울대 국어국문학과.
10. 서정목. 1988. 한국어 청자대우등급의 형태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4.02.0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부사형으로 인정한다.
(4) ‘-어/아’의 연결 형태는 복합어의 구성, 대등법 어미, 종속법 어미, 의존법 어미와 같이 분석한다.
(5) 어미의 하위분류는 다음과 같이 한다.
①종결서술형
평서법
의문법
명령법
감탄법
응낙법
청유법
②연결서술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원
- 등록일 2009.08.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을, 닭을 닿을·닥을·달을, 흙을 흥을·흑 을·흘을
마. 동사어간과 부사형어미 '-아' 가 합쳐질 때의 현상
서남지역에서는 어간이 '-아'의 모음조화가 잘 지켜지지만 두 음절이 넘을 때에는 언제나 '-아-'만 실현
받아도, 보아도, 믿어도, 얻어도,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5.04.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