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작위범
1) 형법 해석의 기초
2) 부작위범
3) 성립요건
4) 부진정부작위범의 성립요건의 특수성
[ IV ] 결론
*참고문헌 [ I ] 서론
1. 서설
1) 법과 도덕
2) 착한 사마리아인 법의 개념
2. 논문의 목적
[ II ] 도덕의 법제화(도덕의 강제)
1.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8.10.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진정부작위범과 부진정부작위범
1. 진정부작위범과 부진정부작위범의 의미
2. 진정부작위범과 부진정부작위범의 구별
Ⅳ. 작위의무와 작위의무자
1. 진정부작위범의 경우
2. 부진정부작위범의 경우
Ⅴ. 부진정부작위범의 성립요건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10.07.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진정부작위범이 될 수 있다."라는 말은 위에서 설명했듯이 자수범은 부작위범 자체가 성립하지 않기 때문에 틀린 명제가 되며, 자수범을 제외한 모든 작위범은 부진정부작위범의 성립요건을 갖춘 경우에 한해서 부진정부작위범이 될 수 있다
|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2.03.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부작위범과 공범
1.부작위범에 대한 공범
2.부작위에 의한 공범
3.결론
Ⅱ. 부진정부작위범의 성립요건
1.보증인적 지위
2.행위정형의 동가치성
3.결론
Ⅲ. 부작위범의 성립요건
1.구성요건해당성
2.위법성
3.책임
Ⅳ. 자수범
1.자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03.11.0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부징정부작위범의 미수
부진정부작위범은 결과범의 성격을 가지고 있으므로 미수가 가능하다. 제2절 장애미수
Ⅰ. 의의
1. 의의
2. 구별개념
Ⅱ. 장애미수의 성립요건
1. 주관적 요건
(1) 고의
(2) 확정적 행위의사
(3) 특별한 주관적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0.12.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