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북한의 우리식 개혁·개방에 적극적인 지지의사를 표명하고 있다. 연합뉴스 2002년 8월 16일
(4) 전략적 협력관계로 전환
앞으로 북·중 관계는 체제의 상이성이 증대되고 입장의 충돌이 있을지라도 중국에 대한 북한의 전략적 중요성과 실용주
|
- 페이지 17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4.12.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북한이 21세기 들어 가장 확실히 외교적 성과를 올리고 있는 지역은 바로 서유럽 국가들로 EU 국가와 외교관계 확대를 적극 추진하고 있다. 2001년 이후 8개 국가와 새로이 수교를 함으로써 총 15개국 중 프랑스와 아일랜드를 제외한 13개국과 수
|
- 페이지 20페이지
- 가격 2,900원
- 등록일 2008.06.0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중시하는 중국의 정책에 따라 1990년대 들어 커다란 곡절을 겪게 된다. 중국이 1991년부터 북한과의 교역 시 사회주의 블록경제의 틀 속에서 유지해온 구상무역을 포기하고 대신 경화결제를 요구하고 나선 데 이어 1992년 8월 한국과 외교관계를
|
- 페이지 24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9.03.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중심으로”,
www.koti.re.kr/project/PubReports.nsf/A16BBD84FCB260BA49256C9100036E89/$file/basic2000-08.pdf
서재진, 김수암(2002), 「2002년 미국의 북한인권 문제관련 동향 분석」, http://www.unikorea.go.kr
통일부, “2000년 남북관계 이렇게 달라졌습니다”, www.unikorea.go.kr
-
|
- 페이지 154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1.05.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중러관계 동향과 동북아 국제정세전망, 국가안보전략연구소, 2004
3. 김진무, 최근 북러·관계 강화 추이를 통해 본 군사협력 전망, 한국국방연구원, 2003
4. 이규형, 한러관계의 현황과 전망, 한국외교협회, 2009
5. 이수형, 미국과 러시아의 군비통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3.07.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