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북한사람들이 말하는 북한이야기」, 정토출판
-------(2001), 「북한사회 무엇이 변하고 있는가?」, 정토출판
-------(2003), ‘2000년도 278건의 인권관련 증언모음집1, 2’, 미간행자료
참고문헌
단행본
강철환 & 안혁(1993), 「대왕의 제전」, 향실
권태
|
- 페이지 154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1.05.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북한의 참여를 유도하는 한편, 자연스럽게 북한의 인권문제개선을 촉구할 수 있을 것이다.
Ⅵ. 향후 시사점 및 제언
우리 사회가 경험한 인권 침해와 개선의 역사는 북한의 인권 상황을 이해하는 주요한 출발점이다. 자유자본주의 체제를 기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08.08.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관하는 입장에서 탈피할 필요가 있다. 우리정부가 유엔회원국과 협력하여 북한인권상황의 심각성에 대한 국제사회의 주의를 환기시킬 경우, 총회는 이에 개입하여 북한인권문제를 정식의제로 채택할 수 있다. 그러나 현 단계에서는 실제로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8.09.2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다.
5) 북한인권개선운동본부. 최성철 (2005.10.1.). ‘북한 인권의 이해’ (p197~228)
6) 북한 인권 결의안(UN Resolution on the Situation of Human Rights in the DPRK)
1990년 중반 이후 북한의 심각한 인권상황을 개선하기 위하여 유엔차원에서 채택한 결의안으로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400원
- 등록일 2013.04.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Ⅳ. 결론
지금껏 감춰져왔던 북한의 인권문제가 수면위로 떠오르면서 비인간적인 처우를 받는 북한 주민들에 대한 관심이 세계적으로 집중되고 있다. 그러나 실상 대한민국에 살고있는 우리 들은 북녘땅의 주민들이 어떠한 생활을 하며 어떻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6.11.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