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북벌론의 추이와 북학론의 대두, 성균관대학교 유교문화연구소 Ⅰ. 17C(17세기)의 북벌론
1. 북벌론의 대두
2. 북벌계획의 시말
3. 군사훈련·군비확충
4. 북벌론의 사상적 배경
Ⅱ. 17C(17세기)의 정국
Ⅲ. 17C(17세기)의 청교도혁명
1. 원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3.07.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를 존중히 여기는 유림들이고 또 하나는 병자란에 순절한 열사들의 족척(族戚)들이었다. 이에 해당되는 인물들이 곧 송시열(宋時烈) · 김집(金集) · 김상헌(金尙憲) · 송준길(宋浚吉) 등이었으며, 이들과 더불어 극비리에 북벌 계획을 세우고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10.03.0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용골대” 추방
(2)병자호란에 대한 국내의 대응
1)척화파(주전론)
2)주화파(주화론)
(3)병자호란 경과
(4)병자호란의 결과
1) 장수나 관료의 공과에 관한 문제
2) 수양문제, 속환문제
3)효종의 북벌계획
(5)병자호란의 패배원인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09.07.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북벌론의 제기와 추진 경과 및 의의에 대한 문제제기, 북벌을 위하여 추진한 인재등용, 군제개혁 및 군사훈련 효종의 북벌계획에 대하여 민생을 이유로 반대하는 대신들과의 대화를 극화(극화)한 내용, 당시의 경제 상황에 대한 역사적 고찰,
|
- 페이지 24페이지
- 가격 7,500원
- 등록일 2008.10.1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북벌계획을 담당하였으나 이는 명목상 추진하였을 뿐 실질적인 북벌정책에는 반대했다. 이듬해 효종이 급서하자북벌계획은 곧바로 중지되었다. 그뒤 자의대비(慈懿大妃)의 복상문제(服喪問題)가 제기되자 기년설(朞年說: 만 1년)을 주장하여
|
- 페이지 31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24.02.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