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94년 6월 지미 카터의 방북과 김일성과의 회담은 북·미간의 핵문제를 둘러싼 갈등을 대화분위기로 바꾸는데 결정적인 기여를 하였고, 마침내 1994년 8월 12일 제3차 북·미 고위급 회담에서 합의문을 작성함으로써 북한의 핵문제 해결과 이에 따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02.02.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북한 핵 [비디오녹화자료],” 『SBS프로덕션』, VF005863 206호 (2003).
박선철 『악의 축과의 대화』 한울(2004. 4. 24)
에드워드코니셔『미래진단법』예지출판(2005 2. 10)
조엘위트, 대니얼 폰먼, 로버트 갈루치 『북핵위기의 전말』모음북스(2005)
|
- 페이지 42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0.04.0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북한 공동정책에 관한 기초를 마련하였다.
이러한 EU의 입장은 방콕에서 개최된 ARF 회의에 참석한 북한의 백남순 외상에게 수교 조건의 형식으로 제시된 바 있으며, 같은 해 11월말 평양에서 있었던 EU Troika와 북한간의 정치대화에서도 제시되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9.05.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EU의 대북태도는 강경해 졌고, 그결과 EU의 주도하에 유엔 인권위원회와 유엔 총회에서 [북한 인권결의안]이 채택되었다. 그로 인해 북한ㆍ유럽연합 관계는 냉각되었으나 2007년 ‘2ㆍ13합의’ 이후 개선의 조짐을 보이고 있다.
한국전쟁 이후
|
- 페이지 20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11.03.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북한은 98년·99년 유럽연합과 2차례 정치대화를 열었으며, 99년 9월 유엔총회를 계기로 유럽국가 등 20여개국과 외무장관회담을 개최했다. 북한은 또 2001년에 EU, 바레인, 터키 등과 외교관계를 수립하거나 대표단을 파견함으로써 국제무대를 활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4.07.0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