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북한의 외래어
민족어의 주체적 입장에서 외래어를 고유어로 다듬는 과정에서 남북한의 차이가 생겼다. 북한에서도 외래어를 무조건 배격하는 것이 아니라 합리적으로 수용하고 있다. 북한의 외래어 표기법은 소련을 위주로 하고 있다.
①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5.05.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북한의 언어 규범 중 맞춤법, 띄어쓰기, 외래어 표기법, 로마자 표기법을 남한의 규정과 비교해서 알아보았다. 이밖에도 북한의 한글전용 문제, 표준 발음 문제, 한자 문제 등 남한과 비교하여 다른 점이 많다는 것은 남북한의 언어생활의 이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3.12.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Ⅰ. 북한의 언어정책
Ⅱ. 북한의 이질화된 언어
1. 한자어 변형
2. 외래어
3. 일상 용어
4. 스포츠 용어
5. 문학예술 용어
6. 의학 용어
7. 의류 용어
8. 수학 용어
Ⅲ. 북한의 호칭어
1. 부모와 자녀사이
1) 아버지
2) 어머니
3) 아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9.04.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Ⅰ. 외래어의 정의
Ⅱ. 외래어표기법의 배경
Ⅲ. 외래어표기법의 원리
1. 외래어 표기법의 변천
2. 현행 외래어 표기법의 원리
Ⅳ. 외래어표기법의 문제점
Ⅴ. 외래어표기법의 오용 사례
Ⅵ. 북한의 외래어표기법
1. 북한의 말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0.11.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Ⅰ.서 론
Ⅱ.남한의 외래어 표기법
Ⅲ.북한의 외래어 표기법
Ⅳ.남북한 외래어 표기법 통일안
Ⅴ.결 론
|
- 페이지 16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2.09.1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