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무용표기법을 완성시킴으로써 무용의 대중화 과학화에 기여하게 되었다는 주장이다. 그러나 과학적이고 통속적이며 실용적이라는 무용표기법은 부호의 수가 너무 많고 복잡하기 때문에 그것을 외운다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지만, 북한의 유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4,200원
- 등록일 2012.12.1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무용동작 표기한 것이다.
참고문헌
1. 강정구 외, 북한의 사회, 을유문화사, 1995
2. 고태우 외 9명, 북한의 이해, 집문당, 1996
3. 김원화, 북한 무용 예술의 이해, 통일연구 Vol 6, No 1, 2001
4. 서동익, 인민이 사는 모습, 자료원, 1995
5. 유미희, 북한의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9.04.0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무용 가운데 한작품.
(5) 강선의 노을
노동계급을 형성화한 무용 작품으로 김정일이 조선노동당 창건 30주년 기념 경축 공연작으로 추천한 작품. 강선은 북한이 제철 산업 복구 사업에서 중시한 제강소로서, 1953년 8월 625전쟁 휴전 직후 김일성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400원
- 등록일 2014.05.0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무용배우 역시 해외공연의 기회 및 체제 선전의 침병으로서의 역활 때문에 이들에 대한 사상적 통제는 다른 분야보다 훨씬 강한편이다.
3. 북한의 무용 기본
북한은 최승희의 영향을 받아 처음에는 일제시대부터 이어온 신무용으로서의 조선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4,200원
- 등록일 2012.09.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한 것이다. 라반은 자신이 개발한 무용표기법을 \'무용보(舞踊譜, Schrifttanz)라 이름붙여 1928년 세상에 발표했다. 라바노테이션이라고 불리는 이 무용표기법은 무용의 모든 동작은 적절하게 표현할 수 있는 표기법이 되었다.
라반은 근대 무용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9.03.3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