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8선 분할의 역사』, 동산출판사, 1995
김인철, 『38선에서 휴전선까지』, 보문당, 1992
하야시 다께히꼬, 『남북한 현대사』, 삼민사, 1989
이희진, 「미국의 한반도 진준비와 38선 획정과정에 대한 검토」
『한국근현대사연구 제 2집』, 한울, 1995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5.02.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38선은 그어졌는가』, 신서원, 2000.
한철호 외, 『고등학교 한국사』, 미래 Ⅰ. 들어가며
Ⅱ. 전쟁 직전의 남ㆍ북한의 상황 (1945~50)
1. 한반도의 정세
2. 남한의 상황
3. 북한의 상황
Ⅲ. 전쟁의 시작과 전개 과정
Ⅳ. 6.25 전쟁의 결과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12.12.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북한의 정상이 만났다. 김대중 전 대통령과 김정일 국방위원장은 직접 만나서 통일을 앞당기기 위한 6·15 남북 공동 선언을 발표했다. 2007년 10월에는 노무현 전 대통령도 북한을 방문하여 남북의 협력에 대해 논의했다.
남북통일의 영향긍정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22.05.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북한군은 연합군에 의해 대다수가 죽거나 포로가 되고 또는 깊은 산골짜기로 숨어 들어감
→ 38선까지의 영토를 회복 < 북한 남침 ~ 38선 회복 >
■ 1950년 6월 25일 새벽4시, 북한군의 남침 개시
■ 북한군의 서울 점령
■ 한강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12.04.2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북한은 미국과 유엔에 대해 분명하게 반대하고 있었다.
Ⅵ. 통일(민족통일)과 38선(휴전선)
1945년 8월 15일, 일본의 무조건 항복 선언으로 마침내 우리 민족은 35년간의 일제 식민 통치로부터 벗어나게 되었다. 광복 이후 우리 민족의 기본 과제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3.07.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