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만들 수 있다. 일체의 염법은 모두 불각의 상이기 때문에」라고 말한 것이다. 따라서 인간 만사는 이 三細六에서 벗어나지 못하므로 결국은 근본무명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1. 根本不覺
2. 枝末不覺
1) 三細
2) 六麤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1,100원
- 등록일 2010.01.0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1. 본각
1) 수염본
2) 성정본
2. 시각
1) 불각
2) 상사각
3) 수분각
4) 구경각
Ⅲ. 불각
1. 근본불각
2. 지말불각
1) 삼세
2) 육추
Ⅳ. 훈습
1. 염법훈습
2. 정법훈습
Ⅴ. 결 론
|
- 페이지 21페이지
- 가격 3,300원
- 등록일 2002.05.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불각이라 하며, 불각의 상태에서 깨달음의 힘이 점차 강해져 깨달음이 완전히 나타난 것을 시각이라 한다. 시각은 사실상 수행의 과정이라 할 수 있겠다. 즉 시각은 불각에서 본각으로 가는 것이다. 이러한 시각은 마음의 근원을 깨닫는 것이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1.08.1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없음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700원
- 등록일 2011.06.0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내려 각자 작은 배를 타고 사방으로 물고기를 잡게 흩어지게 했다.
武宗了一會, 不覺興發, 也擬改乘漁船, 親自捕魚。
무종초료일회 불각흥발 야의개승어선 친자포어
무종이 한번 보고 흥이 일어나서 어선으로 갈아타고 친히 물고기를 잡으려
|
- 페이지 63페이지
- 가격 7,000원
- 등록일 2021.09.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