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뢰야식
④식 전변
3)유식삼성설
(1)의타기설
(2)변계소집성 (변: 보편, 계: 분별하고 집착하여 놓지 않는다.)
(3)원성실성
4)전의와 보살의 수행
(1)전의
(2)보살의 수행
<여래장 사상>
1)여래장
2)일심이문: 여래장과 아뢰야식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1.08.1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불교의 특히 유부의 중심과제인 생사윤회의 주체와 업의 소장처를 궁구하여 나온 사상이라고 할 수 있다.
유식사상에서는 그동안 구별없이 사용하여 오던 心意識을 6식 7식 8식으로 구분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 가운데 8식으로 아뢰야식을 설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3.08.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불교 길라잡이」, 시공사, 1995
정병조, 「한국 불교철학의 어제와 오늘」, 대원정사, 1995
이준우, 「한국불교의 통일사상」, 오덕원, 1994
묘주 스님(동국대 강사), <한국 유식사상의 전개 양상> Ⅰ. 들어가는 말
Ⅱ. 사상
Ⅲ. 유식의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200원
- 등록일 2007.06.0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설한 것으로 自性淸淨心사상에 그 연원을 두고 있다. 여래장 사상은 중관과 유식의 이론을 발전시킨 것으로 <승만경>, <여래장경>, <열반경> 등에 의해 확립되었다.
이 여래장 사상이 대승불교학설로 완전하게 자리를 잡은 것은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2.03.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불교를 배척했지만 불교의 영향을 많이 받음.(배척과 흡수) 1. 불교의 중국 도입과 발전
2. 불교의 일반적 개념
3. 이체설(二諦)
4. 승조(僧肇)의 철학
5. 도생(道生)의 돈오성불(頓梧成佛)설
6. 선종의 기원
7. 제1원리와 수양방법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0.09.0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