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처소형 호칭
비관계 상황 호칭에서는 주의끌기와 처소형 호칭 2가지를 다루었는데, 이러한 2가지 형태의 호칭은 화자와 청자와의 관계가 명확히 성립되지 않아서 어떠한 호칭을 사용해야 할지 잘 알 수 없을 때나, 청자가 담화에 귀를 기울이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1,600원
- 등록일 2014.04.1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처소 의미를 중심으로
김은주(2010), 한국어 부사격 조사 ‘에’, ‘에서’, ‘로’의 교육 방안, 동덕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정수지(2010), 인지언어학에 기초한 한국어 공간 개념 부사격 조사의 교육 내용 기술 방안 연 구 -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8.04.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3 장 예배의 성격
제 4 장 예배의 순서와 요소
제 5 장 예배와 말씀
제 6 장 예배와 기도
제 7 장 예배와 찬송
제 8 장 예배와 성례전
제 9 장 예배와 교회력
제 10 장 예배와 예배 처소
제 11 장 예배학에 대한 이해
|
- 페이지 59페이지
- 가격 20,000원
- 등록일 2008.09.2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사용된다. 그래서 외국인 학습자들이 어떤 때는 \'에\'를 써야 되는지 어떤 때는 \'에서\'를 써야 되는지가 구별하기가 어렵다.
또한 장소를 나타낼 때 중국어로 번역할 때 주로 \'在\'가 대응된다. 그래서 \'에\'와 \'에서\'는 후행하는 서술어에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1,600원
- 등록일 2018.04.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대한 그리스도교적 탐색
2. 연옥 정립의 토양
2.1. 연옥에 대한 이미지
2.2. 논의의 배경
3. 근거들
3.1. 용어의 사용과 공간화
3.2. 신학자들의 논의
3.3. 이단논쟁에서의 발전
3.4. 1200년경 : 연옥의 정립
4. 종교적 성찰, 사회문화적 형성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0.05.0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