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6 종사자(생활시설) 인건비가이드라인
별표1 2016년 사회복지생활시설 종사자 기본급 권고 기준
(단위:천원/월)
직위
(호봉) 원장 사무
국장
과장 및
생활복지사
생활지도원
선임 직원 관리직 기능직
1호봉 2,373 2,123 1,918 1,797 1,639 1,546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6.08.06
- 파일종류 아크로벳(pdf)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그러기 위해서는 불공정 대우의 세분화 요소 중 하나인 분배 불공정성 차원에서 정책 지원과 제도를 마련해야 합니다. 또한 보건복지부가 제시한 사회복지사 인건비 가이드라인을 적용하는 시설 외에도 지역아동센터 등 치료 취약시설과 요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23.07.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사회복지사 처우개선방안》발제문, 동천의집, 2011
장재구,《사회복지시설 종사자 보수현실화 및 근무환경 개선을 위한 제언》발제문, 중앙사회복지관, 2011
보건복지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사회복지시설 종사자 처우(인건비)실태 및 재도
|
- 페이지 31페이지
- 가격 3,200원
- 등록일 2018.03.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사회복지 분야의 보편적 인권과 취약계층 인권 개선에 적극 개입하고 인권교육을 개발·보급하며 사회복지사와 신규 근로자의 인권의식을 향상시키기 위한 시설별 표준화된 지침을 마련할 필요가 있습니다. 또한 사회복지사 인건비 개선을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23.10.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사회복지사의 업무 분담을 명확히 하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또 지역·시설 간 차이를 고려해 인건비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 준수 의무도 강화해야 합니다. 마지막으로 사회복지사의 지위와 처우가 실질적으로 이뤄질 수 있도록 비서 등 인력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23.07.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