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999) / 분청사기, 대원사 Ⅰ. 분청사기의 연원
Ⅱ. 분청사기의 제작지
Ⅲ. 분청사기의 특징
Ⅳ. 분청사기의 문양기법
1. 상감기법
2. 인화기법
3. 귀얄기법
4. 조화와 박지기법
5. 철화문 기법
Ⅴ. 분청사기의 쇠퇴
참고문헌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9.03.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찍어내는 압출양각, 압출양각 후로 문양을 음각하는 경우가 있다. 주로 모란문이나 연판문의 문양이 사용됐고, 사발이나 대접에서 전면에 사용하는 경우가 많았고, 문양이 도드라져 보이는 효과를 갖고 있다.
상감 기법은 고려청자의 장식기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3,700원
- 등록일 2022.08.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상감기법
상감이란 용어의 유해는 알 수 없으나 도자기에 상감기법을 적용하여 중국이나 일본에서 찾아볼 수 없는 독창적인 기법으로 발전하였다. 상감기법은 12세기 중엽 인종 말년 내지 의종 초년경에 약간씩 상감기법이 시도되기 시작하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1.09.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상감(象嵌)청자는 대체로 12세기를 전후하여 만들어졌다는 설이 있으나, 북한의 발굴자료에 의하면 11세기 초 개성 진봉리에서 상감청자가 나왔다는 보고서가 있어 늦어도 11세기부터 만들어졌을 가능성이 있다.
상감기법은 문양을 파고 움푹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9.03.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
진흥섭, 청자와 백자, 청목, 1974
김양묵, 한국 美의 재발견(도자공예), 솔출판사, 2004 1 서론
2 본론
1) 상감기법과 주요 문양
(1) 운학무늬
(2) 포류수금무늬
(3) 들구화무늬
(4) 기타상감무늬
2) 상감청자의 발생시기와 동기
3 결론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07.07.0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