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어’라는 의미장으로 묶을 수 있다.
의미장은 하의관계와 상통한다. 즉 하의관계를 의미장의 개념으로 바꾸면 한 상위어에 묶이는 하위어들의 집합이 곧 의미장이 된다.
ex) \'식물‘과 ’동물‘은 ’생물‘이라는 어휘장을 이룸.
‘호랑나비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700원
- 등록일 2007.02.2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상위어일수록 의미 영역이 더 포괄적이고 일반적이며, 층위가 낮아질수록 그 의미 영역이 한정적이며 특수화된다. 또한 하의어는 상위어를 의미적으로 含意한다.
⑥ 함의란 상위어가 가지고 있는 의미 특성을 하의어가 자동적으로 가지게
|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02.08.0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어
단어는 문법상의 일정한 뜻을 가지는 말의 최소 단위이다. 또는 문장을 구성하는 단위중 분리하면 뜻을 잃어버리는 최소의 자립형식이다. 언어분석 관점에서 정의하면 음운(音韻)보다는 상위이고, 문장(文章)보다는 하위인 언어단위이다.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200원
- 등록일 2017.10.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어휘군(친척어, 공간어)에 한정됨 - 추상어×
④ 의미성분의 보편성 문제
제 3 장 의미장
* 의미장의 성격
1. 의미장의 규정
·의미장은 하나의 상위어 아래 의미상 밀접하게 연관된 낱말들의 집단.
·개개의 낱말은 제 홀로는 아무런 의미도 없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02.03.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어휘군(친척어, 공간어)에 한정됨 - 추상어×
④ 의미성분의 보편성 문제
제 3 장 의미장
* 의미장의 성격
1. 의미장의 규정
의미장은 하나의 상위어 아래 의미상 밀접하게 연관된 낱말들의 집단.
개개의 낱말은 제 홀로는 아무런 의미도 없고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6.12.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