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로 변함에 계지후박행자탕을 사용함을 보면 이 발한 사하한 뒤에 다시 계지탕을 사용할 수 없음을 알 수 있다.
通考則義全。
통틀어 고찰하면 뜻이 온전해진다.
(二七)
傷寒下後,心煩腹滿,臥起不安者,梔子厚朴湯主之。
상한병에 사하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7.01.0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여서 양이 없고 양쪽 모두 다시 발한하지 못함은 또한 같다.
然風爲陽病屬太陽,而曰無陽,誠不可曉,闕疑可也.
그러므로 풍은 양병이 되고 태양에 속하는데 무양이라고 말함은 진실로 깨닫지 못하니 빠진 것이 의심스럽다.
或曰無陽者,謂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200원
- 등록일 2007.01.0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고 단단하며 구토와 하리하면 대시호탕으로 주치한다.
주해
傷寒不汗出,得汗出則解.
상한병에 땀이 나지 않으면 땀을 내면 풀린다.
不解者,以有風而誤於偏攻.
풀리지 않음은 풍사가 있어서 치우쳐서 잘못 공격함이다.
熱反入裏,所以變嘔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7.01.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出,胃中燥,大便必,則語,小承氣湯 主之.
31. 양명병에 그 사람이 땀이 많고 진액이 밖으로 배출하고 위 속이 건조하고 대변은 반드시 단단하고 단단하면 섬어하면 소승기탕으로 주치한다.
若一服語止,更莫復服.
만약 한번 복용하고 섬어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7.01.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期門皆見太陽篇.
혈실과 두한 기문은 모두 태양편에 나타난다.
陽明之脈,其直者從缺盆下乳內廉,下挾臍 按:「挾」原誤作「俠」、「臍」原誤作「(臍)」、據浩然本改
入氣街中.
양명의 경맥은 곧은 경맥은 결분을 따라서 유방 내렴의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7.01.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