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휴가·육아휴직 사용실태조사 보고서, 2002 Ⅰ. 개요
Ⅱ. 모성보호 생리휴가
Ⅲ. 모성보호 유산휴가
Ⅳ. 모성보호 출산휴가
1. 출산휴가의 기간
2. 출산휴가의 상여금
Ⅴ. 모성보호 산전후휴가
Ⅵ. 모성보호 육아휴직
참고문헌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1.10.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휴가
1. 연소자도 일하는 도중에 쉴 수 있으며, 4주간 평균하여 1주일에 15시간이상 일을 한다면 휴일, 휴가를 받을 권리가 있음
2. 사업주는 여성근로자에 대해 월 1회 유급생리휴가를 부여하여야 함
Ⅷ. 연소근로자(청소년근로자)의 금지업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3.06.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생리휴가
근로기준법 제73조 사용자는 여성근로자가 청구하면 월 1일의 생리휴가를 주어야 한다.
(1) 의의
사용자는 여성근로자가 청구하면 월1일의 생리휴가를 주어야 한다. 종래 근로자의 청구와 관계없이 월1일의 유급 생리휴가를 부여하
|
- 페이지 81페이지
- 가격 3,500원
- 등록일 2012.10.1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휴가를 준다.
1. 임신 16주 이내 : 10일
2. 임신 16주 이상 21주 이내 : 30일
3. 임신 22주 이상 27주 이내 : 60일
4. 임신 28주 이상 : 90일
② 유산 또는 사산한 경우 직원은 유산일 또는 사산일로부터 10일 이내에 유산 사산 휴가 신청서에 의료기관 진단
|
- 페이지 26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3.05.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휴가, 배우자 출산휴가, 유산휴가, 가족간호휴직제, 사업장내 폭행, 폭언금지 등이 빠진 채 된 개정이었다.
결국, 우리나라의 이번 근로기준법 개정은 1987년 일본의 노동기준법 개정 내용을 그대로 따르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생리휴가 폐지문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1.10.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