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8.4
3.5
상용근로자기준
지 수
128.8
144.0
168.4
185.0
192.4
증가율
14.8
11.8
17.0
9.8
4.0
부가가치노동생산성
(전체근로자 기준)
지 수
126.5
141.6
156.6
169.1
174.6
증가율
14.6
12.0
10.6
8.3
3.2
Ⅶ. 노동생산성의 광공업
3/4분기 광공업(전기가스 및 수도업 포함)부문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3.07.3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생산성
광공업(전기가스 및 수도업 포함)부문의 상용근로자기준 노동생산성지수는 107.7(2000=100.0)로 전년대비 8.1% 증가하였다. 이는 설비투자가 증가세로 돌아서고, 소비와 수출증가율이 전년에 비해 호조를 보임으로써 산출량(산업생산)이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3.08.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0개 대중형 국유기업에 대한 자료를 분석하고, 위와 같은 오류를 수정할 경우 이 기간 동안 국유기업의 총요소생산성 증가율은 거의 0%였다고 결론 내렸다(Woo et al., 1994b, pp.412-413, 419-421, 428). 이에 대해 Jefferson et al.(1996)은 1980년대에 중간재 가
|
- 페이지 21페이지
- 가격 9,000원
- 등록일 2013.07.2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율은 당기의 노동생산성에서 전기의 노동생산성을 차감한 후, 이를 전기 노동생산성으로 나누어 계산하는 것으로 종업원 1인당 부가가치가 기간 중 얼마나 증가하였는가를 나타낸다.
노동생산성증가율 = (당기 노동생산성 - 전기 노동생산성
|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2.03.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활용하여 운송을 해주거나 판매하는 모든 산업 3차 산업에 속합니다. ○ 제조업이란
○ 서비스업이란
(1) 성장동인으로서 제조업의 역할
(2) 제조업과 서비스업간의 생산성증가율 비교
(3) 제조업과 서비스업의 노동생산성 국제비교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1,100원
- 등록일 2010.05.11
- 파일종류 워드(doc)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