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생채란? ----------------------------------- 1P
2. 숙채란? ----------------------------------- 1P
3. 숙채와 생채의 이용되는 채소류 ------------- 2P
4. 생채의 종류 ------------------------------ 3P
5. 생채의 조리법과 효능 ------------------- 4~5P
6. 숙채의 종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800원
- 등록일 2012.12.2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생채 양념에는 생강을 넣어서 끓인 간장과 깨소금, 고춧가루, 참기름이 이용되고 조피잎으로 만드는 생채에는 고춧가루를 넣지 않는다.
Ⅲ. 결론
나물은 크게 두가지로 생채와 숙채로 나뉘게 되는데, 생채는 볶거나 열이 가해지는 조리법이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9.05.0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생채(生菜)를 한번 소금에 절인 후 복합양념을 첨가하는 담금법을 도입하면서 맛과 영양면에서 탁월해졌다. 또한 양념의 원료의 대부분은 한약의 재료로 사용되고 있는 기능성 식품들인데다가 생채를 1차로 소금에 절였다가 세척하고 탈수하
|
- 페이지 25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1.03.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숙채(熟菜): 삼색나물(시금치, 고사리, 도라지)
침채(沈菜): 동치미
청장(淸醬): 간장
식해(食해): 젓갈
포(脯): 북어, 건대구, 건문어, 건전복, 건상어, 육포 등
갱(羹): 국
유과류: 약과, 산자(흰색), 강정(검은 깨)
당속(糖屬): 흰색 사탕(오화당, 옥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0.08.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숙채(雜生熟菜)였으며, 잡채에 당면이 들어간 것은 1900년대가 지나『조선무쌍신식요리제법(1939년)』부터 사용했으며,『조선요리제법(1942년)』에서는 재료 중에 당면을 제일로 꼽고 있다. 당면은 녹두나 감자녹말을 반죽하여 국수로 뽑아 천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14.10.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